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이것이 실전 회계다._김수현_1-5] 자산일까? 손실일까? 재고자산에 대한 이해

Book

by Life_TravelMaker 2020. 1. 18. 07:42

본문

현금 만드는 자산, 재고

1. 재고자산평가손실, 어떻게 측정하고 어떻게 평가하나?

재고자산 원가의 구성

재고자산 취득원가 = 제조원가

※재고자산의 증가는 경영의 '빨간불'

 

재고자산 평가손실 충당금(재무상태표에서 볼 수 있음)

: 재고자산의 미래가치가 제조원가(취득원가)보다 낮을 경우, 자산의 취득가격에서 차감하는 비용항목

 

재고자산평가방법과 회계처리

'저가법' : 제조원가와 미래판매가치 중 낮은 값을 재고자산 장부가격으로 작성 한다.

예_구형모델의 가격이 제조원가보다 낮을 경우 재고자산평가 손실로 기록한다.

 

2. 손익계산서에 숨어있는 재고자산평가손실 찾아내기

재고자산평가손실이 손익계산서에 나타나지 않는 이유?

매출원가에 비용으로 포함되기 때문이다. 반대의 경우 1년 후 평가금액이 증가하면, 재고자산 평가손실 충당금설정은 매출원가에 가산한다. 환입은 매출원가에 차감으로 반영된다.

 

(제조업 손익계산서 상) 매출원가 = 기초재고 + 당기 총 제조원가 - 기말재고

기말재고 : 기말재고 금액이 높을수록, 매출원가는 낮아지고, 당기순이익은 높아진다.

(단, 재고자산의 과다는 제조업의 위험성이 높아진다.)

재고자산의 평가&관리는 회사가 전사적 차원에서 접근해야한다.(예_구매, 기획,영업,마켓팅 등)

 

재고자산 회전율 : 재고자산이 어느정도의 속도로 판매되고 있는가를 나타내는 지표(높을수록 좋음)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원가 / ([전기말 재고자산 + 당기말 재고자산] / 2) 

또는 회사재무수치의 변화가 매우 빠른경우의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원가 / 당기말 재고자산

으로 계산한다.

 

재고자산 회전기간은 구매에서 판매시점까지 재고가 창고에 보관된 기간 = 365일 / 재고자산 회전율

(각 업체별 판매ㅔ품에 따라서도 회전률이 다리기 때문에 체크할 필요가 있다.)

 

회전율 공식(회수기간 365일/회전율)

(1) 매출채권 회전율 = 매출액 / ([전기말 매출채권 + 당기말 매출채권]/2)

(2) 재고자산 회전율 = 매출원가 / ([전기말 재고자산 + 당기말 재고자산]/2)

(3) 매입채무 회전율 = 매입액 / ([전기말 매입채무 + 당기말 매입채무]/2)

 

현금창출주기 = 매출채권 회수기간 + 재고자산 회수기간 - 매입채무지급기간

 

 

※ 재고에 대한 명확한 평가를 통해 현금의 흐름과 기업의 상황을 보다 확실하게 체크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참 이해가 어렵다. 그래도 공부해야겠지?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