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과함께 주식아카데미 1강 2부 - 1_윤창용

Study

by Life_TravelMaker 2019. 12. 12. 09:23

본문

경제전망

[2부 이행 경제와 정책조율]

 1. (정책) 이행과 한계, 조율

   1-1. 이행 : 미국이 신용경제에서 생산경제로 전환(1995년~2000년 미국모습에 집중)

                4차산업, 셰일혁명, 보호무역으로 인한 변화 시작->신흥국 경상수지 악화

                (단, 아직 준비가 부족한 시점)

   1-2. 한계 

     1) 미국 : 하나, 생산경제 걸음마 단계 / 둘, 신용팽창 후유증 / 셋, 반쪽에너지, 금융시장연계

        하지만, 꾸준히 생산경제로 전화을 하기 위해 정책적으로 노력 중

        셰일오일(경질유) 단가 40-50달러, 미국 정유회사 정제시설(중질유_베네수엘라)에 맞춰

           져 있어 변경하는 시간이 필요.

     2) 중국 : 중국에 있는 미국기업, 공장에 많은 중국인 취업상태, 미국기업의 매출감소 및

        공장 이전시 중국에 실업자 대량 발생 가능성 높음

   1-3. 조율

     1) 무역전쟁 : 지적재산권, 스냅백 조항이 관건.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은 계속 지속될것

        미국은 위안화 점진적 절상(프라다 합의_일본)을 이루고자 함.

        EU와 일본과 미국의 무역전쟁이 이루어질 것인지가 관건.

        미국이 세일오일 및 가스 판매량이 증가한다면, LNG선의 발주량 증가 가능

     2) 통화정책 : 연준은 금리는 이전 수준으로 내림(2019년 12월 현제)

     3) 재정정책 : 미국 인프라(2000억 달러)는 2021-24년에 집행될 예정

        (2020년 인프라 기업투자 기회가 될것으로 판단됨)            

        중국 감세(자동차) 및 철도 인프라투자, 독일 도이치 뱅크의 합병 가능성

     4) 유가 : 산유국의 감산합의(어떻게 될지 모름), 아람코의 상장 시작

 

 2. (경기) R의 공포와 비빌언덕

  2-1. R의 공포    

     1) 발틱운임지수 급락, 글로벌 물동량의 감소 -> 수출감소, 재고증가

     2) 장단기 금리역전(경제침체시 장단기 금리의 역정이 있었지만, 장단기 금리가 역전되었다고

       경기침체가 오는것은 아님)

     3) 1970년 이후 주가가 고점 대비 20% 이상 조정시 경기침체 발생 6번중 5회 발생

       (단, 프라자 합의가 있었던 1987년에는 발생하지 않음->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중요한이유)

     4) 중국, 독일, 일본, 한국의 경우 20%조정시 약세상 진입 가능성 높음.

  2-2. 비빌언덕

     1) 낮은재고부담 : 현제 제고 증감이 낮은 상태 -> 통신의 발달로 낮아 진것과 구별을 해봐야함.

     2) 미국의 소비 제반여건 양호 -> 미국의 소비가 신흥국으로 자금이 흘러가지 않고 있음.

     3) 독일 더 나빠질 가능성 미미 -> 미국이 자동차관세를 높인다면, 지하실이 존재

     4) 중국 소비의 안정적 증가세 -> 광군절 사상 최대 매출 기록! 부동산 시장은 위축된 상황

        한계기업의 증가와 무역전쟁으로 인한 기업들의 부채 증가가 되는 상황

   2-3. 전망 : 2분기 부터 소순환 반등 기대 -> 3분기부터 반등이 시작됨

 

 

 3. (한국) 성장둔화, 저축과잉

  3-1. 정책조율

    1) 가계부채 : 금융자산 3000조, 가계부채 1500조(금융자산은 부자들에게 집중->양극화가 심함)

  3-2. 경기전말 : 2019년 2% 이하 성장율 예상

  3-3. 저축과잉 : 구조적 경상흑자, 해외투자 확대

 

 4. (시장) 키맞추기

   전망 : 외환(1070-1170), 상품(WTI 40-70, 금 1150-1350), 증시(2000-2400), 채권(10년국채 1.8-2.2%)

    -> 전망 중 맞는 것은 거의 없음. 

 

 5. (결론) 숲도 보고, 나무도 보고

     숲 : 셰일혁명, 제조업, 보호무역으로 인한 1) 선진국 신흥국간 탈동조화

          2) 쌍둥이 적자 및 부채축소에 따른 강달러 압력 3) 달러화 자산과 비달러화 자산간 수익률 차별화

 

나의 결론, 큰 매락은 이해를 하고 있으되 기업에 집중을 해서 주식을 하는것이 더 큰 도움이 될 것 같다. 

다만, 달러와 일정부분이상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