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주식 판단지표
(1) 상대평가
- PBR / PER : 역사적 밴드(높낮이)를 통해 평가, 국가별 상대비교 방식을 통해 평가
- 시가총액/GNI : 시가총액/국민소득 지표는 각국 증시 프리미엄 비교를 위한 대용지표로 사용한다.
(2) 절대평가
- 일드갭(PER역수-국채수익률) : 평균적으로 국채수익률은 3년 만기물, EPS는 12개월 Fwd EPS를
사용하여 스프레드를 산출한다. 증시 저평가 정도 측정 선진국증시의 경우, BM국채인 10년
만기물을 적용한다.
- 배당수익률(시가배당금/평균주가) : 배당수익률과 3ㅕㄴ 구고채 수익률 비교
예_SRET-Global X SuperDividerd : 글로벌 리츠 30개사 투자 배당률 연 8.27%
- 시장전체 PBR과 ROE : PBR-ROE 조합표를 작성해 적정 주가지수 레벨을 추정,
과거 PBR-ROE 조합에서 주가지수 궤적 참조
(3) 추세전환
- '경기선행지수' 순환변동치 : S&P500 및 코스피와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경제지표
- 중국경기지표 : PMI와 산업생증가율이 한국증시 변곡점 판단에 가장 유용하다.
- 환율, 수출금액, 수출등가율, 경상수지 흑자(적자) 누적변화
(4) 과열정도
- 연간 IPO건수 및 IPO전체금액
- 선도업종 6개월, 12개월 주가상승률
- 최근 6개월 일드스프레드 변동률
(5) 외국인 수급
- MSCI EM, DM 주가지수
- 한국증사의 상대 PBR,PER
- 불확실성지수(EM, DM)
- 외국인주식 누적 순매수 규모
3-2. 채권 판단지표
(1) 통화정책
- 장기균형물가, 자연실업률 추정치, 실질 단위노동비용, CPI, Core CPI, PCE인플레이션
- 중앙은행의 점도표(FOMC)
(2) 적정금리
- 기대인플레이션(주로 5년)
- 물가연동국채에 포한된 기대인플레 아웃 풋갭
- (실질성장률 - 잠재성장률)텀프리미엄
(3) 국제비교
- 주요국간 동일 만기물 국채수익률 : 미국과 독일금리 비교
- 선진국 국채 순발행금액, 자본수지 누적액
3-3. 환율 판단지표
(1) 원화
- 외국인 주식 및 채권투자금액 : 순누적금액과 순누적금액 변화로 원/달러 변동압력 측정
- 기준금리와 장기국채금리 : 기준금리와 국채 스프레드를 통해 통화정책과 인플레 압력을
간접적으로 판단
(2) 달러
- CITI Macro Index, EMBI Spread
- Libor금리 - 미국 TB(주로 3개월)
- 국제유가 또는 유가변동률
- CDS프리미엄 추이
(3) 유로
- 유로존, 독일 실질이자율
- 유로존, 독일 경상수지/GDP비율
3-4. 대체자상 판단지표
(1) 유가
- 금/원유 교환비율(상대가격)
- 명옥유가, 실질유가
- 셰일오일 시추공수
- 주요 산유국 재정균형 유가
(2) 부동산
- PIR(주택가격/가처분소득)
- 생산활동 인구추이
- 가계부채와 근융여신총액 추이
- 미분양률, 주택평균가격
- 기존 및 신규주택가격 상승률
- 주택거래량, 신규주택 허가면적
- 산규주택착공건수
- 공실률, 이자율과 평균 임대수일률
※ 지표에 대한 것만 보다가 어느 순간 멍 때리는 나를 발견했다. 경제라는 부분을 알기위해 이렇게 많은 지표들을 살펴봐야 한다는 것에 좌절감을 느끼기도 했지만, 이런 지표가 있다는 것을 알았다는 것에 나의 발전에 박수를 보낸다. 이 중 내가 잘 이해할 수 있는 지표를 찾아서 공부를 해보자!
[불리오_천영록 대표] 부의확장 저자강연 :: 인식의 확장을 느끼다. (0) | 2020.02.01 |
---|---|
신과함께 주식아카데미 3강 - 1_이경수 : 퀀트 분석(계량분석실무) 나는 이제 로봇이닷! (0) | 2020.01.24 |
신과함께 주식아카데미 2강 - 2_김한진 : 자산배분전략 (0) | 2020.01.22 |
신과함께 주식아카데미 2강 - 1_김한진 : 자산배분전략 기본원칙과 4계절(경기의 분류방법) (0) | 2020.01.21 |
상가투자 어떻게 하면 좋을까?! (0) | 2019.12.23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