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를 하기 위해, 기업을 살펴보기 위해 그 기업의 이야기 사업보고서와 재무제표를 우리는 읽는다. 그 속에 숨은 이야기를 어떻게 찾아야 할까? 과연 그냥 읽는다라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다. 그렇다면 어떻게 생각을 하면서 읽어야 할까?
하나, 투자기업에 대한 경제적해자는 무엇인가? 해자의 도약은 가능한가? 성장을 한다면 어떤 경로로 성장을 할 것인지 나만의 가설을 가지고 재무제표를 분석을 해야한다.
둘, 그렇가면 경제적 해자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투자기업의 경제적해자는 영업용자산생산성(=영업레버리지효과)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수 있고, 영업레버지리가 높아지면 IC회전율과 영업이익률의 증가로 나타난다.
셋, 영업용자산생상선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영업용자산의 내구연한을 살표보아야 한다. 영업용자산의 내구연한이 길수록, 추가적인 비용이 들지 않고 수익을 오랫동안 향유할 수 있기 때문에 영업레버리지가 높아지고, 경제적해자도 넓어진다.
넷, 투자기업 중 조건(매출)이 같다면, 비유동영업용자산이 많고, 유동자산이 적은 기업이 경제적해자가 넓은 기업이다. 비유동영업용자산이 많은 기업이 적은 기업에 비해 매출의 지속성이 높다.
다섯, 비유동자산의 내구연한은 CAPEX의 사이클과 연동이 된다. 따라서 넓은 해자를 구축하는데 오랜시간이 걸리게 되지만, 한번 구축이 된다면 오랜시간동안 높은 영업레버리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투자기업의 비유동자산의 내구연한에 대해 알아보고, 그 산업에서 비유동자산의 내구연한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여섯, 투자기업을 분석할때, 기업의 고정비에 대해서 깊게 분석을 해야한다. 고정비에는 감가상각, R&D, 판관비에 대해 매년 비교를 하면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이런 것을 보면서 재무제표에서 투자기업에 대한 스토리를 직접 만들어 보아야 한다. 한 기업에서도 3~5가지 정도의 시나리로를 만들어 본다면, 재무제표를 볼때 보다 더 잘 이해가 될 것이다.
[가치투자 기초공부 15.] 해자의 완성에 대해 알아보기.
해자의 완성과정 1. 좁은해자의 완성은 무엇일까? : 좁은해자의 완성은 PP&E가 WC 대비 2배가 되어, PP&E회전율이 3-4배일때 규모의 경제를 달성하게 된다. 이때, OCF(영업현금)은 CAPEX와 같아지고, IC회
life-travelmaker.tistory.com
[가치투자 기초공부 16.] B2C기업에 대한 기초공부! (0) | 2020.05.27 |
---|---|
[가치투자 기초공부 15.] 해자의 완성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0.05.26 |
[가치투자 기초공부 12.] 현금흐름표 분석, 플.마.마.를 기억하자! (0) | 2020.05.17 |
[가치투자 기초공부 11.] CAPEX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0) | 2020.05.16 |
[가치투자 기초공부 10.]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2편(변동비와 고정비) (0) | 2020.05.1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