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PEX = Capital Expenditure,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을 의미한다.
CAPEX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산에 대한 이해도 함께 필요하다. CAPEXS는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이기도 하지만, 자산화가 가능한 자산이기 때문이다.
1. Capital Goods : 자본재로 비유동영업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비용이다. 비유동자산은 1년 이상 고정된(유동화 하지 않는)자산을 의미한다.
2. Durable Goods : 내구재로 3년 이상 내구연한을 가진 자산을 의미한다. = Non-Current Capital Goods(내구연한은 CAPEX투자에 있어서 중요한 포인트이다.)
3. CAPEX의 분류
3-1. 유지CAPEX : Q(판매량)를 유지하기 위한 CAPEX로 기존의 PP&E(유형자산)를 재구매하여 판매량에 알맞은 설비구매
3-2. 성장CAPEX : Q(판매량)을 늘리기 위한 새로운 PP&E(유형자산)를 구매
4. 성장CAPEX와 유지CAPEX의 비용 = 성장 : 유지 = 5 : 1
: Q의 성장을 위해서는 기존의 회사에 새로운 PP&E, 인력, 영업네트워크, 고정고객의 증가가 이루어져야 되기 때문에 유지하는 것에 비해서 더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참고, 고객의 유지 & 확보의 경우 CAPEX와 동일하게 고객확보를 할때, 고객유지에 비해 5배의 비용이 더 필요하다.
기업이 언제, 어떤 상황에서 CAPEX투자를 하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기존의 제품이 판매되지 않거나 감소할때, 새로운 제품(새로운 생산라인의 필요)만 판매가 될때 CAPEX의 투자는 회사는 성장을 하기기 힘들다. 기존의 제품을 바탕으로 같은 라인을 이용할 수 있을 새로운 제품이 잘 팔린다면 CAPEX의 비용은 감소되고 이익은 크게 증가 할 수 있지 않을까?
이런 분석을 하기 위해서는 정말 그 회사의 공장의 라인, 생산공정, 제품의 판매등을 살펴 보면서 분석을 해야하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성장과 유지사이를 잘 선택하여 전략적으로 투자를 하는 경영진의 역활이 중요한 포인트인것 같다.
[가치투자 기초공부 12.] 현금흐름표 분석, 플.마.마.를 기억하자!
현금흐름표 분석 내가 작성하는 가계부와 가장 비슷해서 이해를 하기 쉬운 것은 바로 현금흐름표 분석이다. 돈이 들오고 나오고를 통해서 회사가 얼마나 돈을 사용했는지 알 수 있다. 단, 손익��
life-travelmaker.tistory.com
[가치투자 기초공부 14.] 재무제표를 보며 어떤 생각을 해야하나? (0) | 2020.05.25 |
---|---|
[가치투자 기초공부 12.] 현금흐름표 분석, 플.마.마.를 기억하자! (0) | 2020.05.17 |
[가치투자 기초공부 10.]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2편(변동비와 고정비) (0) | 2020.05.14 |
[가치투자 기초공부 9.]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1편. (0) | 2020.05.12 |
[가치투자 기초공부 8.] 손익계산서 분석을 하기 위한 기초(발생주의, 현금주의, 공헌이익, 손익분기점) (0) | 2020.05.11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