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히든잼스] 4강 2. 바람의숲_김철광 :: 중국공산당의 대장정 그리고, 손자병법(손자병법)

Study

by Life_TravelMaker 2020. 6. 14. 07:13

본문

The Art Of War :: 손자병법

손자병법

1. 계 2. 작전 3. 모공 4. 형 5. 세 6. 허실 7. 군쟁

8. 구변 9. 행군 10. 지형 11. 구지 12. 화공 13. 용간

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실전적 지침이다. 실전의 승리자가 되기 위한 책이다.

 

이번 특강에서는 1-5번의 항목을 이야기하려고 하였으나, 모든 부분을 하지 못하였다.

 

1. 계 :: 계획을 하고 전쟁을 준비한다?!

: 전쟁은 절대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 (우발과 패턴에서 이야기 하는 임계점, 멱함수를 생각한다면 보다 쉽게 이해를 할 수 있다.)

: 적의 강점과 약점이 있고, 나의 강점과 약점이 있으면, 나의 강점으로 적의 약점을 공략해야 한다.

- 3불 전략(베트남 보응 웬 지압장군)

1) 적이 원하는 시간에 싸우지 않고,         = 반드시 이길수 있을때 투자를 하고,

2) 적이 원하는 장소에서 싸우지 않고,     = 반드시 이길 수 있는 자금으로  투자를 하고,

3) 적이 원하는 방식으로 싸우지 않는다.  = 반드시 이길 수 있는 기업에 투자를 한다.

 

2. 작전 :: '졸속'으로 끝내는 편이, '지구전'보다는 낫다.

1) 지구전과 소모전에 대한 경고 했고, 허울 뿐인 승이를 경계했다.

2) 이기지 못할 전쟁을 오래해서 이득이 된 적은 없다.

3) 이길 확신이 없는 전쟁은 아예 시작도 하지 말아야 하지만, 이길수 있다는 확신이 들어 시작한 전쟁이라도,

    전황이 불리해 승산이 크게 줄어들면 결단을 내려 철군하는 것이 현명한다.

4) 원칙 없는 투자는 재미 삼아 벌이는 전쟁이나 다름없다.

5) 만일 패배했다면 일전 기간 패배원인을 분석하는 복기의 시간을 갖고 다시 전쟁에 임하는 편이 좋다.

 

3. 모공 :: 모략(지혜)으로써 공격한다. = 현명한 투자자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지는 것이다.

: 아군 병력이 적의 10배가 되면 포위하고, 5배가 되면 공격하고, 2배가 되면 나의 병력을 나누어 적을 상대하고,

  적과 병력이 대등하면 능숙하게 적과 싸우고, 적보다 병력이 열세하면 능숙하게 적을 회피하는 것이다.

  열세한 군대가 힘을 고려하지 않고, 유연하게 회피할줄 모르면서 적에게 정면 맞서 대응하면 군대에 의해 사로 잡히게 되는 것이다.

  = 투자자 역시 투자를 해야 할 때와 하지 말아야 할 때, 투자를 지속해야 할때와 철수 해야 할때를 명쾌하게 알아야 한다.

 - 성장주 투자자 리스크 = 너무 높은 가격을 지불할 우려, 승패는 매도에 달려 있다.

 - 가치주 투자자의 리스크 = 쓰레기를 매수할 우려, 승패는 매수에 달려 있다.

 

4. 형 ::가장 실수를 적게 하는 투자자가 승리 한다.

투기의 예

1) 과도한 신용으로 테마주에 몰빵한다.

2) 스스로 분석하지 않고, 남의 추천을 맹신한다.

3) 최초투자아이디어가 훼손되었지만, 원금에 대한 미련으로 비자발적 장기투자를 한다.

4) 한국밸류 지분 5%, 신영자산 지분 5% 보유한 종목이 52주 신고가 수준에서 매수해서 장기 보유한다.

 

: 어쩐 이유로든 가치에 비해 비싸게 사는 행위는 가치투자자에게 있어 미수 몰빵보다 더 지독한 투지행위다. 

  투자에 있어 실패에서 배운다는 말은 알게 모르게 범했을 투기적 요소를 차근차근 제거해 나간다는 말이다.

  분산투자는 집중투자의 연습이어야 한다.

  강세장에서도 저평가 된 기업이 있다며 '가치투자'를 부르짖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강세장에서도 저평가 되어 있는 기업만큼

  위험한 기업도 있는 법이다. 왜 모든 기업이 제값을 받거나 그 이상의 값을 받는 강세장에서 조차 소외되어 있을까를

  먼저 고민해 봐야 한다.

 

5. 세 :: 전쟁이나 주식시장의 '오름세' 혹은 '내림세' 이런 세를 잘 파악해야 한다.

지금이 유리한 상황과 조건인가? 불리한 상황과 조건인가? 

내가 주도권을 잡고, 상대를 끌고 나가고 있는 상황인가? 반대의 상환인가?

: 가치투자를 한다면서도 이익을 내지 못하는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싸게 사지 못하고, 제값에 팔지 못하기 때문이다. 

  잘못된 매수 및 매도 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아무리 철저한 분석을 통해 가치 있는 기업을 찾아 낸다

  하더라도 이익을 챙길 가능성은 희박하다.

  예_ 경기 순환주를 뜨거울 때 덥석 사들이고, '우량주 장기투자'운운하는게 문제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