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스를 처음 할땐, 말을 놓는 위치와 룰을 먼제 배우는 것과 같이 가치투자를 할땐 기업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먼저 배우자. 하기 싫은 날이 와도 매일 매일 한걸음을 내딛는다면, 분명히 변화가 시작될테니까!
: 듀퐁분석(Dupont Analysis)의 순이익률 레버리지 분석은 손익계산서에서 할 수 있다. 매출에서 당기순이익으로 이어지는 경로에서 이익률 분석을 한다.
1. 회전율과 이익률 분석 방법
: 회전율은 재무제표를 통해 P와 Q를 분석한다.
: 이익률은 손익계산서에서 C(CAPEX/OPEX, FC(고정비)/VC(변동비), COGS(매출원가)/SG&A(판관비)를 분석한다.
2. 발생주의와 현금주의
: 영업활동은 발생주의와 수익비용대응 회계원리 때문에 NI와 FCF가 일치하지 않는다. 우선 '발생주의와 손익대응원칙'에 따른 손익계산서로 NI를 계산하고, 다시 한번 '현금주의'에 따른 현금흐름표로 FCF를 계산한다.
2-1. 현금주의
: 현금흐름표, 직접적으로 돈이 이동한 부분을 작성한다. 투자활동은 현금주의이다.(직접 돈의 이동으로 이루어짐)
2-2. 발생주의
: 손익계산서, 유동자산 거래활동 = 영업활동을 '발생주의 원칙'에 의해 작성한다. 예_감가상각비, 매출채권 등
3. 공헌이익 = P(매출) - VC(변동비) / 공헌이익률 = 1 - (변동비 / 매출액)
: 하나의 상품의 한계이익에서 이 상품의 변동비를 뺀 금액(제품이 여러가지라면 공헌이익도 여러가지가 된다.)
: 영업레버리지 지표 = (P - VC)*Q - FC = (가격 - 변동비)*판매량 - 고정비
: 영업레버리지 = 공헌이익 / 세전영업이익로, 영업레버리가 클수록 매출액 변화에 민간하게 반영이 된다. 영업레버리지를 파악하기 위해서 VC(변동비)와 FC(고정비)를 구분하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을 해야한다.
3-1. P-VC spread = 이익률 : 넓은해자를 가지기 위한 필요조건.
: 앞도적인 경쟁우위를 가진 종목으로 업종에서 1등 기업은 경제위기시 영업효과가 높고, 과점효과가 높은 기업이다.
예_아마존, 스타벅스, 구글, 애플 등
3-2. Q-FC spread = 회전율 : 좁은해자를 가지기 위한 필요조건.
4. 손익분기점(Break Even Point)
: 총 매출 = 총 지출이 같아지는 지점을 의미한다.
4-1. 손익분기점(BEP) 매출액(S) = FC(고정비) / 공헌이익률(1-(변동비/매출액)
4-2. 손익분기점(BEP) 판매량(Q) = FC(고정비) / 공헌이익(매출액-변동비)
[중요]
변동비(VC)의 변화가 기업의 매출 이익률의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변동비 낮아 질 수록, 판매량이 적어도 손익분기점을 빠르게 달성을 할 수 있고, 공헌이익률이 낮아져 손익분기점 매출액을 빠르게 달성할 수 있는 상황을 만든다. 기업의 변동비는 그 기업이 영업레버리지를 얼마나 잘 일으키는지 알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지표이다.
EX 1. 매출 10, 변동비 5, 판매량 10, 고정비 3일 경우 영업레버리지는? (10-5)*10-3=47
EX 2. 매출 10, 변동비 4, 판매량 10, 고정비 3일 경우 영업레버리지는? (10-4)*10-3=57(+10)
EX 3. 매출 10, 변동비 5, 판매량 10, 고정비 2일 경우 영업레버리지는? (10-5)*10-2=48(+1)
공헌이익이 모지?, 손익분기점은 들어봤는데... 그런데 들어만 보았던 것과 직접 계산을 해보는 것과는 정말 다른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정비를 1줄이는 것 보다, 변동비 1을 줄이는 것이 영업레버리지에서 10배의 차이가 발생한다. 그만큼 기업에서 변동비를 얼마나 줄이냐가 기업의 성과에 가장 큰 관건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오늘은 조금 재미난것을 알게 되었다. 기업의 변동비를 자세하게 알아보고 싶다는 생각이 든다.
[가치투자 기초공부 9.]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1편.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1. COGS(Cost Of Goods Sold, 매출원가) : '판매된 재화'의 가중평균제조원가를 의미한다. 단순하게 '판매된 재고의 원가'이다. : 1년동안 만들어지는 상품에 들어가는 구성��
life-travelmaker.tistory.com
[가치투자 기초공부 10.]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2편(변동비와 고정비) (0) | 2020.05.14 |
---|---|
[가치투자 기초공부 9.]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1편. (0) | 2020.05.12 |
[가치투자 기초공부 7.] 자산의 분석 방법 :: 회전율을 알아보자. (0) | 2020.05.10 |
[가치투자 기초공부 6.] 업종별 다르게 살펴봐야 하는 영업레버리지(제조업&서비스업) (0) | 2020.05.09 |
[가치투자 기초공부 5.] 자산레버리지를 분석하는 방법 :: 듀퐁분석(Dupont Analysis) (0) | 2020.05.07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