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실전강의 6.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레슨, 나의 가족에서 투자를 어떻게 알려줄까?

카테고리 없음

by Life_TravelMaker 2020. 4. 8. 07:36

본문

아빠와 딸의 주식투자레슨

한줄요약 : "싸게사서, 비싸게 팔아라."

KISS(Keep It Simple, Stupid)

 

1. 주식투자레슨

: 책에서는 배우는 동안 주식을 투자하지 않는다.(하지만, 공부를 하는 딸의 입장에서는 투자하지 않는 것에 공부를 시작한지 4개월쯤이 지나면서 초초함을 느낀다.)

 

2. 투자란?

싸게 살수 있는 기회가 올때까지 기다리는 것이다. "좋은공이 올때까지 기다려라." 

6개월, 1년, 2년, 3년이라도 기다릴 수 있어야 한다.

 

(생각)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다. 펀드를 드는 것 보다 매달 10만원씩 통장에 모았다가 주가가 급락을 했다. 사이드카가 발동을 하고 서킷브레이크가 걸리고 나서 그때부터 나의 현금을 코스피 ETF에 분할로 5-10%씩 매일 넣어 보면 어떨까? 초보자인 나에게 가장 쉬운 주식의 시작방법일 것 같다.

 

3. 찰리멍거의 투자원칙

1) 자신이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2) 고유한 특성이 지속적인 경쟁우위를 뒷받침해야한다.

3) 성실하고 유능한 경영진이 이끄는 기업이 바람직하다.

4) 합리적(정말 싼가격)이고, 안전마진이 확보된 가격에 매수 할 수 있어야 한다.

 

4. 매수시점은 '사건'을 찾아야 한다.

: 기업의 주가가 고평가 상태일때 아무것도 하지 않고, 기업의 주가 실제가치를 훨씬 밑돌때 공격적으로 매수하려면 사냥꾼과 같은 인내심이 필요하다. 주식시장은 다른 사람들의 가치평가에 근거해 움직이고 공포와 탐욕같은 단기 감정에 훨씬 더 민감하기 때문에 기꺼이 지불하려는 가격이 매우 다양하다.

  버핏은 그것이 더욱 많은 매수기회를 창출한다고 했다. 사람은 실수를 한다. '인생의 우여곡절'을 감안해 그 값을 절반으로 할인해 보호장치를 마련해야한다.(안전마진) 

'사건'의 예 : 대공항, 경제위기, 금융위기, 석유파동, 코로나19 등

 

5. 투자에 대한 압박감을 이겨야 한다.

: 투자해야한다는 압박감. 그것이 바로 펀드매니저들이 시자을 이길 수 없는 이유란다. 압박감으로 투자를 하는 매수는 투자가 아니란다. 투자자와 투기꾼을 구분하는 것은 인내심, 매수대상에 대한 이해여부야. 좋은 투자의 비결은 기다림이야.(종목에 대한 이해와 자신감이 있을때, 투자를 하고 자신감이 있어도 투자를 할때 분산 투자를 하면 된다.)

  원하는 것이 재정적 자유라면 항상 할인된 가격에 매수하고, 현금을 들고 기다리고, 혼란이 닥쳤을때 행동에 나설 준비가 되어있어야만 한다. 기다리고 기다리고 또 기다리다가 사야할 순간이 왔들때 공격적으로 나서는거야. (나의 포트폴리오에는 현금을 두고 기다리다가 주식의 가격을 끌어내릴 '사건'을 기다려야 한다. 나는 이번 코로나19의 사건일때 충분히 매력적인 가격을 보았지만, 두려움에 사로잡혀 공격적인 매수를 하지 못했다. 이것을 보며 경험의 중요성을 느낀다.)

 

6. 배당금 주는 회사는 투자를 하지 마라.

: 먹고사는데 반드시 그 현금이 필요한것이 아니라면 배당 지급여부를 근거로 기업을 사면 안돼. 늘 최고의 기업을 찾아야해. 그리고 현금을 어디에 쓸지는 그 최고의 기업의 결정에 맡겨야해. 이렇게 접근해야하는 대표적인 기업이 버크셔 헤서웨이야.

 

: 배당주는 성장을 잃어 버린 회사가 배당을 하는 것이다. 즉, 배당금 이상의 성장을 하지 못한 기업이다. 배당주에서 주의해야 하는 경우는 배당락이 생길경우 기업의 가치가 급격하게 떨어진다. 소소한 수익을 내다가 한방에 무너지는 것과 같다. 우리는 소소한 손실을 보다가 큰 수익을 얻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배당주보다는 성장주에 투자를 해야한다.(우리는 늘 최고의 기업에 투자해야한다.)

 

 

 

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실전강의 7. 트랑셰(Tracnch), 열정(2013년_최준철, 김민국)

바람의숲(김철광) TIP.(3월 14일 업로드 강의) TIP1. 2020년 3월 13일(금)과 같이 시장의 패닉에 빠졌을때, 우리는 무엇을 사야하는 것일까? (주식을 모르는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방법) 1) 시총 1위, 2위 기업을..

life-travelmaker.tistory.com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