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치투자 기초공부 10.]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2편(변동비와 고정비)
변동비와 고정비를 분류를 해야하는데, 도대체 어떻게 분류를 해야할까? 나에게는 너무나도 어려워서 조금씩 공부를 해본다.
매출원가와 판관비의 변동비, 고정비 분류
1. 매출원가(COGS)의 변동비와 고정비
1-1. COGS 고정비
: 공장설비 감가상각비, 생산인건비(제조분야에 일하는 직원)
1-2. COGS 변동비
: 원부자재비, 공장전기료, 공장수도광열비, 재고평가손실, 외주가공비, 지급수수료
2. 판관비(SG&A)의 변동비와 고정비
: 기업의 변화를 찾아 낼 수 있는 Tip이 숨어 있다.
2-1. SG&A 고정비
: 감가상각비(감가상각비(유형자산) + 감모상각비(무형자산)), 핵심인력 인건비(비유동영업용자산으로 내구연한동안 해고되지 않는 인력), 연구개발비(R&D), 일반관리비, CAPEX 성격의 광고선전비(마켓팅비)
: PP&E관련 자산은 Non-Cash Cost로 실제로 그해에 현금이 지출되지 않는 Cost이다.(예_감가상각비)
2-2. SG&A 변동비
: 원부자재비, 계약직 인건비, 광고선전비(마켓팅비), 지급수수료, 운반비
: WC관련 자산으로 Cash Cost로 실제 현금이 지출되는 Cost이다.(예_원부자재비)
COGS(매출원가) | SG&A(판관비) | |
고정비 |
공장설비 감가상각비, 생산인건비 |
감가상각비(유형 + 무형자산), 핵심인력인건비, 연구개발비(R&D), 일반관리비, CAPEX성격의 광고선전비 |
변동비 |
원부자재비, 공장전기료, 공장수도광열비, 재고평가손실, 외주가공비, 지급수수료 |
원부자재비, 계약직인건비, 광고선전비, 지급수수료, 운반비 |
글로 적는 것은 쉽지만, 이 것을 기업의 재무상태표 상에서 찾고 분류를 하는 것은 생각보다 너무 어렵다. 하지만, 매일 조금씩 하다가 보면 이해가 되고, 해볼만 하지 않을까?!
투자를 하는 사람들은 이런 것을 보면서 기업을 투자를 했다는 것에 존경심이 든다. 공부를 한사람과 하지 않은 사람이 위기시에 대처를 하는 방법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공부하면서 많이 깨닳게 되는 것 같다. 오늘더 더 열심히 공부를 해야겠다.
[가치투자 기초공부 11.] CAPEX가 무엇을 뜻하는 것인가?!
CAPEX란 무엇일까? CAPEX = Capital Expenditure,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 지출된 비용을 의미한다. CAPEX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자산에 대한 이해도 함께 필요하다. CAPEXS는 미래의 이윤을 창출하기 위�
life-travelmak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