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기초강의 2. 통합적 투자관리, 한종목을 알더라도 확실하게 알자.

Life_TravelMaker 2020. 3. 30. 07:57

통합적 투자관리

: 한종목을 알더라도 확실하게 알자. 그래야지만, 투자를 할때 비중을 확실히 싫을 수 있다.

 

1. 투자의 절차

1) 목표설정과 투자분석

2) 전략 : 자산배분결정(중요)

예_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재 등

3) 전술 : 투자방법

예_소극적관리(인덱스), 적극적관리(액티브), 종목선정

4) 사후통제 : 포트폴리오수정, 투자성과분석

- 포트폴리오 리밸런싱(같은 금액으로 포트폴리오 비율 맞추기위한 것.)

- 포트폴리오 업그레이드(추가적인 비용을 넣어 변화를 주는 것)

 

[중요한 포인트]

- 시기에 따른 자산을 어떻게 편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 전략에서는 자산배분결정, 전술에서는 종목선정을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다.

- 투자아이디어 : 2월에 도서관을 가서 작년 8월의 신문을 보고, 올해 8월 투자할 기업을 찾아본다.

- 각 국가마다 시장의 성격이 다르다. 

  예_ 한국(있는 법을 지켜야 한다고 투쟁을 한다.), 미국(사소한부분도 계약으로 진행이 되며, 그에 따른 책임은 본인이 진다.)

- 미리 공부를 하고 있다가 6개월 이후 바뀔 기업을 찾아 투자를 한다.

- IPO기업을 분석하여 가치투자자가 들어오지 않은 종목에 투자한다.

- 52주 신고가의 기업은 피하고, 6개월 후 신고가를 갈 종목을 찾아본다.

 

[한종목을 알더라도 잘 아는 것이 중요한 이유]

사례 : 닭고기 회사의 경영자는 주식에 대해서는 모르지만, 매년 조류독감이 언제 오는지를 알고 있어, 조류독감이 오기 전인 겨울에 주식을 사두었다가 봄에 조류독감이 발생해 주식이 상승하면 매도한다. 그렇게 몇십년이 흐른 뒤 그 분은 큰 금액을 본인에 손에 가지고 있게 되었다.

 

[좋은 주식은?]

좋은 주식 = 좋은회사 + 좋은주가 

두가지를 동시에 만족을 하는 것이다. 좋은 주식의 주가가 높다면, 급락을 할때까지 기다릴줄 알아야 한다. 

 

 

 

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기초강의 3. 주식투자 위험에 대한 고찰.

주식투자 위험에 대한 고찰 주식투자위험 = 체계적위험 + 비체계적위험 : 즉, 주식투자는 위험하다.(기본전제) 1. 체계적위험 : 경기변동, 이자율, 인플레이션, 환율, 정치사회적 문제는 분산을 해도 회피할 수..

life-travelmak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