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신과함께 주식아카데미 3강 - 1_이경수 : 퀀트 분석(계량분석실무) 나는 이제 로봇이닷!

Life_TravelMaker 2020. 1. 24. 07:37

※ 먼저 금융업계의 생태계를 이해하자.(나만의 방법을 해석한다면?)

1. 물주(갑) : 국민연금(해외주식 약 120조, 국내주식 약 120조), 보험사, 우정사업본부, 기타 연기금

2. 하청업체 : 운용사, 자문사 등 -> 운영을 하여 수익 창출(많은 자금을 유치하면 수수료 증가)

3-1. 두 곳에 정보 제공 증권사 애널리스트

3-2. 증권사 펀드매니저 : 하청업체의 자금을 유치해야하는 입장(펀드 판매)

 

단, 물주는 너무 많은 수익을 좋아하지도 않고, 너무 적은 수익을 원하지도 않는다. 딱 시장 수익률만 바란다.

그래서 물주가 원하는 대로 펀드와 운영사의 자금이 움직인다.(즉 이곳은 대박은 없다.)

 

가격(Price) = 주당순이익(EPS) * 주가수익비율(PER)

주당순이익(EPS) = 당기순이익 / 주식수

주가수익비율(PER) = 주식가격 / 주당순이익

 

 

1. 증권사 퀀트란? 

(1) 퀀트분석(Sell-Side)

(2) Front Quant(Buy-Side) : 헤지펀드에서 많이 이용함.

예_삼성전자가 좋으면, 관련주식을 비율대로 매수하고, 나쁘면 비율대로 매도

(3) 종류 : 글로벌 모델, 팩터모델(예_고배당, 저PER, 섹터 등), 업종모델, 페어 트레이딩 모델, 롱숏모델 등

 

1-1. 퀀트의 장점

: 투자의 신속성(스타일을 정해 빠르게 1/n로 투자), 감정(주관)의 배제(심리에 흔들리지 않음), 

눈에 보이지 않는 요인간의 관계를 시스템적으로 파악가능(파동효과 포착)

윤용비용감소(탐방, 리서치 등의 행위가 줄어들거나 없어짐)

 

1-2. 퀀트의 단점

: 포트폴리오 구성 종목군의 위험(부정적 이수에 대응 어려움. 종목의 다양화로 리스크를 줄임.)

통계적 오류(샘플링의 오차가 있으면 나쁜결과 도출), 시장분위기 급변 시기에 취약한 구조

 

퀀트는 정리를 하면서도 어렵다는 생각이 잘만 하면 큰 도움이 될듯한데, 이건 전문적으로 해주는 곳이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그래도 기본적인 정보를 알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니 열공을 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