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히든젬스_재무제표] 현금배당 & 주식배당 그리고 유상증자

Life_TravelMaker 2020. 7. 27. 15:08

현금배당

: 현금 유출, 이익잉여금 감소(자본총계 감소)

 ✅ 배당은 이익잉여금이 있을때만 가능하다.(없으면 배당 ❎)

: 인위적인 배당락을 시키지 않는다.

: 12월 29일 폐장일, 12월 28일 권리락시 배당만큼 하락하여 주가가 형성된다.

✅ 배당주는 가을전에 사서 연말 배당락 전에 매도하는게 적절하다.

 

주식배당 

: 자본금 증가, 이익잉여금 감소(자본총계 불변)

  예_ 투자자 (10% 배당) 100주, 880원 -> 110주, 800원이 되는 것이다.

: 12월 28일 배당만큼 권리락을 시킴

: 신주 상장은 익년 4월 초에 이루어짐. 그때까지 시총은 과소평가된다.(권리락 기간)

 

유상증자

: 기업이 어렵거나 신규 사업을 할때 한다.

- 주주 배정 증자(주식에 부담 & 하락의 영향력이 높다)

  : 권리락 발생, 청약 부담, 신주물량부담(보호예수X), 시총대비 증자비율, 자금의 사용용도(시설투자, 사업인수),

    통상 증자 발표 후 급락 및 장기간 주가 부담

- 3자 배정 증자

  : CB보다 3자 배정이 기업에 대한 확신이 있어야 가능하다.

  : 투자자(일부분_경영진과 관계가 있는 경우), 자금의 사용용도(시설투자, 사업인수),

    통상 증자 발표 후 급락 및 장기간 주가 부담

- 일반공모

  : 대중들에게 공모 발행, 보호예수 X, 주가부담 

 

 

공부를 하다보면 알고 있다고 생각을 했는데 모르는 부분이 정말 많다. 듣고 나면 또 잊어 버릴 것 같아 시간이 될때마다 다시 한번 이곳에 기록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