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히든잼스] 2강 2. 가치삶_박성환님 :: 채권, 파생상품을 기업이 보유했다면?!(& 실적공시 일정)
Life_TravelMaker
2020. 5. 30. 07:15
아... 이 강의 정리는 도저히 한번에 할 수가 없다. 내가 모르는 부분이 너무 많아서 천천히 하나씩 해야 할 것 같다. 공부하자 공부하자!
채권, 파생상품을 가진 기업
이유 1. 원금에 대한 이자를 받을 목적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이자수익만 인식한다.
이유 2. 복합계약 포함시
: 기타포괄손익 -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자본항목에 반영
처분시 -> 영업외수익 / 비용
이유 3. 파생상품
: 단기손익 -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처분시 -> 영업외수익 / 비용
포괄이익(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대부분 일시적인 이익으로 회계에서 우리는 당기순이익에 집중을 해야한다.)
: 순자산 증감이 발생하나, 당기 손익에 반영 안하는 손익이다.
후속적으로 당기 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포괄손익과, 재분류 되는 포괄손익이 있다.
예_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해외사업장 환산 외환차이 환산차대
실적공시 일정
영업실적 잠정공시 = 임의사항
분기보고서 = 5월 15일까지
반기보고서 = 8월 14일까지
분기보고서 = 11월 14일까지
단, 연결재무제표를 처음 하는 기업의 경우 2년동안 유예기간으로 60일 이내로 준다.
매출액 손익변동공시 = 2월 전후발표(해당시 의무적으로 발표를 해야함)
감사보고서 = 3월 전후
사업보고서 = 3월말
투자를 하면서 이 부분에 대해 정확히 알고 있지 못했다는 것에 정말 깊이 반성을 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