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가치투자 기초공부 9.]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1편.

Life_TravelMaker 2020. 5. 12. 07:10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1. COGS(Cost Of Goods Sold, 매출원가)

: '판매된 재화'의 가중평균제조원가를 의미한다. 단순하게 '판매된 재고의 원가'이다. 

: 1년동안 만들어지는 상품에 들어가는 구성품은 그 시기에 따라 가격이 다르고, 제품마다 구성품이 다리기 때문에 정확한 상품의 제조 원가를 파악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매출원가(COGS) = 기초재고액 + 당기매입액

= (전기제조원가 *. 재고수량) + (당기제조원가 * 생산수량)

= 전기당기가중평균제조원가 * 판매수량

 

EX 1. 작년재고 0개, 올해 100개 장비 생산(개당 생산원가 1억)하여 모두 판매한 경우,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 100 = 100억원 

EX 2. 작년재고 100개(개당 생산원가 1억), 올해 50개(개당 생산원가 1억) 장비 생산하여 모두 판매한 경우,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 50) + (1 * 50) = 100억원 

EX 3. 작년재고 50개(개당 생산원가 1억), 올해 50개 장비 생산(개당 생산원가 2억)하여 모두 판매한 경우,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1 * 50) + (2 * 50) = 150억원 

EX 4. 작년재고 50개(개당 생산원가 1억), 올해 50개 장비 생산(개당 생산원가 2억)하여 모두 판매한 경우,

         매출원가는 얼마인가?  가중평균제조원가로 계산한다.

        (1 * 50) + (2 * 50) = 150억원(제조원가 총합) / 100 = 1.5억(개당 가중평균제조원가)

        1.5 * 50 = 75억 

 

2. SG&A(Selling, General & Administractive Expense, 판관비)

2-1. 판매비(Selling Market Expenses, S&M)

: 매출채권대손상각(재무상태표에 대손충당금), 광선전비(마켓팅비), 지급수수료 등으로 변동비의 성격을 가진다.

2-2. 관리비(Geneal & Administractive Expenses, G&A)

: 본사의 감가상각비, 고정비 성격을 가진다.

매출원가와 판관비를 분루를 할때에는 2가지의 분류로 살펴보아야 한다. 첫번째는 회전율을 살펴보기 위한 방법으로 COGS와 SG&A로서 ROE와 ROIC를 구할때 살펴보는 과정이다. 그리고 두번째는 이익률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변동비(VC)와 고정비(FC)로 살펴보는 방법이다. 이 과정에서는 변동비를 보다 집중적으로 분석을 하여, 기업의 변화 및 기업이 숨겨두려고 하는 점을 찾아 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인다.

기업분석이라는 것을 전혀 몰랐을때 보다 지금은 조금 어떻게 돌아가는지 흐릿하게나마 보이는 것 같아 좋다. 분명 실전에 들어가면 이 것보다 복잡하고 어렵겠지만, 지금 쌓아가는 가치투자의 기초가 든든한 버팀목이 되어 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가치투자 기초공부 10.] 손익계산서 분석 매출원가(COGS)와 판관비(SG&A) 2편(변동비와 고정비)

변동비와 고정비를 분류를 해야하는데, 도대체 어떻게 분류를 해야할까? 나에게는 너무나도 어려워서 조금씩 공부를 해본다. 매출원가와 판관비의 변동비, 고정비 분류 1. 매출원가(COGS)의 변동�

life-travelmak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