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가치투자 기초공부 7.] 자산의 분석 방법 :: 회전율을 알아보자.

Life_TravelMaker 2020. 5. 10. 07:18

Asset(자산) 분석방법

1. 총자산 회전율 = Revenue / Asset

: 자본 >> 비유동자산 >> 유동자산 >> 매출 >> 당기순이익

  >> 잉여현금흐름

: 총자산 회전율을 통해 ROE를 알 수 있다.

: 자본을 통해 대출을 받고 이것으로 비유동자산(토지, 공장, 설비 등)을 구매하여 유동자산(재고자산, 매출채권 등)을 만들고, 이를 통해 매출을 일으킨다. 매출 중 세금, 매출원가, 판관비 빼면 당기순이익이 된다. 다음 사업에 사용이 될 비용을 차감하면 잉여현금이 나온다. 

 

2. 영업용자산 회전율 = Revenue / IC

: 자본 >> IC(Invested Capital, 투하자본) >> 매출 >>

  NOPLAT >> EV(Enterprise Value, 기업가치, 기업의 총가치로 기업의 매수자가 지급해야하는 금액)

: 영업용자산회전율을 통해 ROIC를 알 수 있다.

: IC = PP&E + WC + 현금

: 자본을 바탕으로 대출을 받고, PP&E를 구매하고, PP&E를 통해 WC를 만들어 매출을 일으키고, 매출에 세금을 제하여 NOPLAT를 구한다. NOPLAT을 통해 기업의 총가치를 구해 매수단가를 산정한다.

 

3. 영업용자산 회전율의 기준

: 영업용자산회전율 = 1 = 레버리지가 일어나지 않는 상황을 의미한다. 즉, 매출 = IC(PP&E:WC=3:1)

  예_매출 4, IC 4, WC 1이고, 현금이 없다면, PP&E는 얼마일까? PP&E = 3 (즉, 영업용비유동자산 회전율 = 1.33이 된다.)

 

4. 운전자본(WC)회전율 = Revenue / WC

: WC = 매출채권 + 재무자산 - 영업부채 = 순운전자본

: 제조업의 경우 분기에 1번은 재고자산을 소진해야 한다. 즉, 운전자본회전율 4이상이 되어야 한다.

  다만, 재고자산의 회전율이 높아도 매출채권의 회전이 되지 않는다면 운전자본회전율은 높게 나오지 않는다.

 

자산을 분석하고 그 회전율을 정확하게 알고 있다면, 그 기업이 현제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 파악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이 분석을 통해 분명하게 보게 되었고, 기준을 만들게 되었다. 물론, 아직은 재무제표를 보면서 각 항목이 어디에 들어가는지를 명확하게 파악을 하지는 못하지만, 이것을 바탕으로 꾸준히 공부를 한다면 분명 도움이 되지 않을까 싶다. 

 

 

[가치투자 기초공부 8.] 손익계산서 분석을 하기 위한 기초(발생주의, 현금주의, 공헌이익, 손익��

체스를 처음 할땐, 말을 놓는 위치와 룰을 먼제 배우는 것과 같이 가치투자를 할땐 기업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먼저 배우자. 하기 싫은 날이 와도 매일 매일 한걸음을 내딛는다면, 분명히 변화가

life-travelmak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