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발과 패턴_마크 뷰캐넌 :: 세계는 보는 것보다 단순하다.
기초연구란 공중에 화살을 쏜 다음, 떨어지는 지점에 가서 과녁을 그려넣는 것과 같다. - 호머 엣킨스 -
6장. 자석
영국 의사겸 과학자 월리엄 길버트는 자석에 대한 가장 방대하고 이행하기 쉬운 연구를 진했다. 자석을 도가니에 집어넛고 뜨겁게 달구면 자석은 당기는 능력을 잃어버리는 것도 발견했다. 왜? 자성이 없어지는지는 300년간 풀리지 않다가 1970년에 처음 설명이 나왔고, 30-40년후 수정이 되고서 총 400년 후에 풀렸다.
이 수수께끼를 풀면서 물리학자들은 심오한 교훈을 얻었다. 세계는 보는 것보다 다순하다. 우리가 어떤 것을 이해할때, 세부적인 것이 거의 문제가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1. 임계상태의 보편성
: 임계상태의 특성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어떤것의 분포가 멱함숭= 형태를 띤다는 것 뿐 아니라 멱함수에 대응되는 숫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임계상태는 질서와 무질서가 불편한 균형을 이루며 전투를 벌인다. 어느족이 완전히 이기거나 완전히 지는 법이 없어 영원히 끝나지 않는다. 영원히 끝나지 않으며 계속 변하는 특성은 대상이 가진 거의 모든 성질과 무관하다. 기본 구성요소 형태가 점, 화살이냐에 따라, 구성요소가 몇 차원으로 배열이 되어있는지만이 전투의 특성을 결정한다.
2. 보편성 부류
: 어떤 보편성 부류에서 한가지 임계상태만 이해하면 그 부류에 소속된 모든 계를 이해할 수 있다. 가장 조잡한 장난감 모델도 보편성 부류에 소속된다. 여러 세부적 성질을 일일이 고려할 필요는 없다. 단지 그 계와 같은 보편성 부류로 부류된 가장 단순한 수학적 게임을 살펴보기만 하면된다. 두가지 특징(계의 물리적 차원, 기본요소의 형태)만 같으면 추악할 정도의 조잡한 모델도 진짜 물리게와 정확히 똑같이 작동한다.
우리는 좀더 정교한 전망을 얻었다. 임계상태에 대해서는 게의 세부적인 성질들을 거의 모두 무시하면서도 본직적인 구조를 이해할 수 잇다. 단지 진짜로 결정적인 성질 몇가지만을 고려하면 된다.
이제까지 알아본것을 임계적 사고라고 할수 있다. 이 조직은 계의 세부적인 성질에서 오지 않고 계의 기하학적 구조에서만 관계된다. 경제와 생태계는 물론 과학발전의 과정에서도 임계상태의 특성이 나타난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아직은 이 책을 읽으면서 정확한 이해는 어렵다. 다만 예측은 언제나 실패를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은 알수 있었다.
우발과 패턴_마크 뷰캐넌 :: 임계적 사고
과학적 사고의 목표는 수수한 것에서 일반적인 것을 보고, 일시적인 것에서 영원을 보는 것이다. - 알프레드 화이트헤드 - 7장. 임계적 사고 그 무엇도 임계상태에 도달하지는 않는다. 조율이 필요하다. 핵반응로..
life-travelmak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