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실전강의 7. 트랑셰(Tracnch), 열정(2013년_최준철, 김민국)
바람의숲(김철광) TIP.(3월 14일 업로드 강의)
TIP1. 2020년 3월 13일(금)과 같이 시장의 패닉에 빠졌을때, 우리는 무엇을 사야하는 것일까?
(주식을 모르는 사람들이 할 수 있는 방법)
1) 시총 1위, 2위 기업을 산다.
2) 지수 ETF를 산다.
단, 패닉에서 매수하고, 더 시장이 빠질 경우 내가 버틸 수 있는가? 버티기 위해서는 앞으로 3년 후 주식이 어떻게 될지 생각을 해보면 답을 찾을 수 있다.
TIP2. 주식투자 매수방법
1) 계좌를 4개를 만들고, 동일한 현금을 넣어 1차매수-1번계좌, 2차매수-2번계좌, 3차매수-3번계좌, 4차매수-4번계좌에서 진행한다.
2) 매수방법은 일정한 시간의 간격(예_1개월, 1주, 3개월 등)과 주식의 가격(예_10%하락시 마다 등) 등으로 룰을 정해서 실천한다.
이를 통해 나의 투자방법을 알 수 있고, 수정이 가능하다. 실수 할 것을 생각하고, 그에 대한 계획까지 세우면서 투자를 해야한다. 계속 투자를 하더라도, 현금은 항상 보유하라. (약 3-5종목을 4회에 나누어 투자하자.)
+ 트랑셰(Tranch) : PF대출 상환으로 발생하는현금에 대해 서로 다른 지금우선 순위를 갖는 그룹별로 유동화증권을 분할 하는 것을 말한다. 예_나의 투자자금은 4가지의 트랑셰에 맞춰 한달에 한번, 하락의 %에 따라 투자를 한다면 훨씬 더 안정적인 투자를 할 수 있다. 처음 구매했던 기업의 가치가 10%하락을 할 수록, 채권의 등급이 한단계씩 높아지는 것과 같다.(단, 그 기업이 건전할 경우)
TIP3. 주식을 살때와 팔때
1) 살때 : 이미 오른것은 사면 안된다.(특히, 52주 신고가) 사는 종목은 52주 신저가가에 이벤트로 주식이 떡락하는 종목을 사야한다. (신고가 대비 20%가 떨어졌다고 산다면, 이후 30%가 떨어지면 인내가 바닥이 되어 팔고 나오게 된다.) 단, 경영진이 좋지 않고, 성장성이 없는 종목이 신저가에 떡락을 했다고 매수를 해서는 안된다.
2) 팔때 : 최대한 길게 수익을 가져갈 수 있는 방법으로 가지고 간다. 큰 수익이 나면, 다른 작은 손실은 다 매울 수 있다. 매도는 실적이 미스가 날때 매도를 한다.(지속성이 깨어질때)
참고 : 탐방의 경우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주입받아 비자발적인 장기 투자를 하게 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TIP4. 사고싶을때 현금이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
: 시장을 매일 보고 있다면, 작은 하락에 매수를 하게 되면 지금과 같은 큰 하락이 나타났을때, 현금이 없을 것이다. 왜? 내가 현금이 없는 이유를 찾아보라. 그 이유가 시장을 보는 것 때문이라면, 시장과 거리를 두어라. 시황방송과는 거리를 둬라.
TIP5. 위기는 우리가 예상하지 모사는 방식으로 온다.
: 우리는 역사적 밸류에이션으로 주식을 평가하고, 인내해야한다. Key- Factor(요소투자) = 각 기업의 가장 중요한 요소를 보고 파악하고 투자를 해야한다.
+ 열정(2013_최준철, 김민국)
:가치투자를 하는 중에 적정가격에 매도를 하고, 매수할 종목이 없어 현금이 쌓여가는 중 주식시장은 과열로 접어들었다. 많은 현금을 보유하는 것을 보고 고객의 불만이 켜졌고, 그 동안 최고의 수익률을 올렸다는 생각, 시장에 뒤쳐진다는 초초함에 고점에 매수를 하고, 큰 손실을 보았다.
[주식의 타입분류]
1) 스노우볼(Sone-Ball) : 비즈니스 모델이 견고해 장기보유가 가능한 종목
2) 언더플라이스(Under-Priced) : 현제 기준에서 저평가된 것으로 제 가치에 도달하면 매도해야 할 종목
3) 씨클리클(Cyclical) : PBR을 기준으로 사이클의 바다에서 사야하는 종목
4) 턴어라운드(Turn-Around) : 경쟁력은 다소 부족하지만 우호적인 환경으로 변화가 일어나는 종목
5) 그로스(Growth) : 일정기간의 성장이 예측가능한 종목(예_(대기업)납품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높은 경우)
단, 뜨거운 관심을 받는 종목은 일단 피하는게 상책이다.
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실전강의 8. 재무상태표에서 현금흐름표를 먼저보라.
현금흐름표 : 재무제표는 기업이 계속기업이라고 생각을 하고 평가한다.(기본전제) 청산가치로 재무제표를 평가하는경우는 관리종목에 들어갔을때 평가하게 된다.(청산가치로 기업을 평가할때는 모든 자산의 가치..
life-travelmak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