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기초강의 1. 시장가설, 기초부터 시작을 하자!

Life_TravelMaker 2020. 3. 29. 07:03

시장가설

1. 효율적 시장가설(EMH :: Efficient Maket Hypothesis) : 시장의 가격은 모든 정보를 즉각적으로 반영한 가격이다. 여의도 증권가의 90%가 믿는 이론이다. 

1) 이용방법 :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가 주가가 급락 4-10%가 나오면 투자를 한다. 

2) 투자방법 : 망가진 회사를 부석하여 다시 성공가능성이 있을때 가능하다.(넘겨집기, 예측의 범위), 규율에 엄격한 합리적 투자자가 된다.

3) 생각해보기 : 시장 20%가 급락을 하면 두려운데, 20%가 증가하면 왜 두려움이 없을까? (2020년 3월과 같은 시기에는 나는 어떻게 해야할까?)

4) 체크포인트 : 코스닥 투자시 신용한계를 반드시 체크하라. 역사적 신용한계를 체크하고, 투자자금의 여력을 파악하라. (2020년 3월 개인투자자들의 새로운 유입이 관찰된다.)

5) 정보를 다루는 법 : 정보는 과잉 & 지연 반영된다. 지연반영이 될 종목을 찾아 투자하라.

예_유상증자를 한다고 공시를 하면 지난, 6개월동안의 유상증자사례를 찾고 현제의 사례와 비교를 해보라.

 

2. 적응적 시장가설(AMH : Adaptive Market Hypothesis)

: 시장을 진화론적 관점에서 보는것. 시장은 지난 역사를 바탕으로 언제나 진화를 하고 있다. 시장은 각 개개인이 만들어가는 것이기 때문에 이전의 투자 방법들이 이제는 먹히지 않는 것이다. 시장이 진화를 하는 것 처럼 나도 진화를 해야 한다.

 

3. 이질적 시장가설(HMH : Heterogenous Market Hypothesis)

: 시장참여자들은 똑같은 이벤트를 보고 다른 생각을 한다. 시장은 다양한 리그가 있다.

예_배당, 바이오, 가치투자

 

 

[기억하라]

시장의 70~80%는 시장의 수익률을 이길 생각이 없다. 시장의 수익률만을 추종한다. 그러나 투자자라면, 어떻게 해야할까?

 

 

 

바람의 숲(김철광) :: 가치투자 기초강의 2. 통합적 투자관리, 한종목을 알더라도 확실하게 알자.

통합적 투자관리 : 한종목을 알더라도 확실하게 알자. 그래야지만, 투자를 할때 비중을 확실히 싫을 수 있다. 1. 투자의 절차 1) 목표설정과 투자분석 2) 전략 : 자산배분결정(중요) 예_주식, 채권, 부동산, 원자..

life-travelmaker.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