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피셔_역발상 주식투자] 중형곡선이 들려주는 이야기. 난 어디를 보고 있어야 할까?
2장. 중형 곡선이 들려주는 이야기
: 전문가들이 어떻게 해서 틀리고, 왜 틀리는지 이해하는 작업이 우리의 적중률을 높이는 첫 단계이다.
1. 달력에 집착하는 월스트리트
: 연간 실적은 중요하지 않다. 강세장이 2년 가느냐, 10년 가느냐가 중요하다. 각 연도의 실정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조정기와 하락기를 포함한 전체 기간의 실적이 평가되어야 한다.
2. 전문가들의 집단사고
: 전문가들에게도 집단사고 경향이 있다.
3. 역발상 투자자가 전문가들의 예측치를 이용하는 방법
: 시장은 더 보편적인 척도를 사용한다. 시장이 가는 방향은 4가지뿐이다. '소폭 상승', '대폭 상승', '소폭 하락', '대폭 하락'이다. '보합'까지 포함하면 5가지다. 그러나 '보합'은 S&P역사상 단 한번(1947년뿐이었다.)
중형 곡선을 보기만 해도 꽤 넓은 범위를 시나리오에서 제외할 수 있다. 4가지 범위 중 예측치가 집중되는 범위를 제외하면 된다.
주류 군중의 시나리오 : 이들은 어떤 위험을 논하는가? 무엇을 좋게 보는가? 이것들을 파악하면 무엇이 가격에 반영되었는지 대강 알 수 있다. 이들은 무엇을 보지 못하였는가? 무엇을 오해하고 있는가 바로 여기에 위험과 기회가 있다.
주류 군중이 높친것들을 찾아보라.
: 세계를 둘러보라. 주요 국가에서 진행되는 불량 통화정책을 사람들이 간과하고 있는가? 새로운 관세와 규제 탓에 무역이 급감하는데 아무도 눈치채지 못하고 있는가? 끔찍한 규제가 수익성을 갉아먹는데도 사람들이 모르고 있는가?
-> 모두가 이 분제를 알고 있다면 이미 주식에 반영되어 있다고 봐야 한다. 우리는 극소수만 아는 사실을 찾아내야 한다.
4. 대가도 실수할 때가 있다.
: 대가들의 실수 비중이 30%나 된다. 자존심을 세우는 주장은 치명적인 실수가 된다. 자신의 잘못을 합리화하려는 목소리가 머릿속을 맨 돌기 시작하면 즉시 억제해야 한다.
5. 월스트리트를 누르는 법
: " 다른 방향이지, 반대방향이 아니다." 전문가들의 예측치를 이용하는 열쇠이며 역발상 투자의 핵심이다. "당신은 왜 그렇게 생각하는가?"라는 질문만 던져도 다르게 생각할 수 있다.
Q. 전문가들이 대부분 시점에서 대부분틀리는 이유는 무엇인가?
단기간을 예측하고, 정밀하게 예측을 하려고 하기 때문에
Q. 전문가들의 오류를 이용해 시장을 예측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다르게 생각한다.
Q. 정밀한 예측이 중요하지 않은 이유는? 큰 시장의 흐름을 읽는 것이 더 중요하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