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튜브 스터디(김철광) :: 가치투자기초강의
김철광은 어떻게 시장을 이겼나?
시장가설
1) 효율적 시장가설(EMH :: Efficient Market Hypothesis)
: 여의도 증권가의 90%가 믿음. 남은 10% 중 90%는 퀀트, 10%는 가치투자자
- 이용방법 :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가 급락 4-10%가 나오면 그때 투자를 한다.
- 투자방법 : 망가진 회사를 분석하여 다시 성공가능성이 있을 때 가능(넘겨집기, 예측의 범위), 규율에 엄격한 합리적 투자자가 된다.
- 생각해보기 : 시장 20%가 급락을 하면 두려운데, 20%가 증가하면 왜 두려움이 없나?
- 체크포인트 : 코스탁 투자시 신용한계를 반드시 체크하라.(역사적 신용한게를 체크하고, 투자자금의 여력을 파악하라.)
- 정보를 다루는 방법 : 과잉 or 지연 반영된다.
예) 60일선 개인투자자의 보유기간 약 2개월로 심리를 파악할 수 있다.
예) 120일선 개인은 6개월 보유가 어렵다. 기관과 외국인이 팔았다면 투자가치는?
2) 적응적 시장가설(AMH :: Adaptive Market Hypothesis)
: 시장을 진화론적관점에서 보는 것
3) 이질적 시장가설(HMH :: Heterogeneous Market Hypothesis)
: 시장참여자들은 똑같은 이벤트를 보고 다른 생각을 한다. 시장은 다양한 리그가 있다.
예) 배당, 바이오, 가치투자 등
시장의 70-80%는 시장을 이길 생각이 없다.(즉, 시장의 수익을 추종한다.)
통합적투자관리 : 투자를 할 때, 한종목을 알더라도 확실하게 알고, 비중을 실을 수 있어야 한다.
- 시기에 따른 자산을 어떻게 편입을 하는 것이 중요한 포인트다.
- 전략 : 자산배분결정 / 전술 : 종목선정 을 어떻게 하는냐가 중요하다.
- 자아이디어 : 2월에 도서관을 가서 작년 8월 신문을 보고, 올해 8월 투자할 기업을 찾아본다.
투자목표의 설정
: 어떻게 하면 ‘유혹’에 빠지지 않을까? / 수익이 난 것을 어떻게 극대화 할 것인가?
나의 투자 타입은 어떤 것인가?(투자자들도 다양한 타입이 있다.)
1) 투자기간 : 장기 or 단기
2) 위험수용도(엑셀파일 만들기)
: 현제가, 목표가, 매수가(1차,2차,3차)를 정하고 매수시 각기 다른 계좌를 통해 매수한다.
단, 추가매수를 할 수 있는 금액, 가격의 변동을 수용가능 범위를 기록하자.
3) 세금관계
4) 투자자금의 성격
5) 투자목표
- 예상하지 목한 일이 생겼을 경우에 따라 어떻게 할 것인지 시나리오 작성.
- 매수를 한 이유도 함께 기록할 것!
사후통제(투자이후 반드시 사후평가를 할 것)
포트폴리오의 수정 : 기존의 포트폴리오 재구성하는 국면
포트폴리오 - 리밸런싱(같은 금액으로 포트폴리오 비율을 맞추기 위해 하는 것)
- 업그레이드(추가적으로 비용을 넣어 변화를 주는 것)
각 국가마다 시장의 성격은 다르다.
한국 : 있는 법을 지켜야 한다고 투쟁을 한다.
미국 : 사소한 부분도 계약으로 진행이 되며, 그에 따른 책임은 본인이 진다.
한국시장의 진화(모든 기업에 가치투자자가 들어가 있다. 그렇다면 지금은?)
- 좋은 회사이지만, 누구는 돈을 벌고, 누구는 돈을 잃는다.
- 좋은 주식을 사는 방법
위험에 대한 고찰
- 체계적 위험 : 회피할 수 없는 위험.(대공항, 경제위기)
- 비체계적 위험 : 투자하는 각 기업에 대한 위험, 종목의 분석을 통해 위험감소 가능.
- 위험(리스크)는 관리를 해야하는 대상이지 회피해야 할 것은 아니다. 적정한 리스크를 받아들이면서 수익을 극대화해야한다.